2025년에는 장애인연금이 인상되어 지급되고 있다 사실, 알고 계셨나요?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기초급여가 인상되고, 부가급여를 포함하면 최대 월 43만 2,510원까지 지급됩니다. 특히 중증장애인의 소득보장을 위한 핵심 제도로서 놓치지 말고 반드시 확인해 보셔야 해요.
장애인연금 신청 자격과 금액, 지금 바로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
2025년 장애인연금, 얼마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1월부터 중증장애인에게 지급되는 장애인연금 최대 금액은 월 43만 2,510원입니다.
이는 기존보다 7,700원이 인상된 금액으로, 기초급여 34만 2,510원 + 부가급여 최대 9만 원이 합산된 수치입니다.
💬 기초급여: 근로능력 상실 등으로 인한 소득 감소 보전 목적
💬 부가급여: 장애로 인해 추가 발생하는 비용 보전
장애인연금 선정기준액도 인상!
구분 | 2024년 | 2025년 | 증감 |
---|---|---|---|
단독가구 | 130만 원 | 138만 원 | +8만 원 |
부부가구 | 208만 원 | 220.8만 원 | +12.8만 원 |
※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인 중증장애인만 해당되며, 매년 물가 및 소득 수준을 고려해 조정됩니다.
신청 방법 안내
📝 신청 대상: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 중 소득기준 충족자
📍 신청 장소: 전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 누리집
📞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신청 시 장애인등록증, 가족관계서류, 소득자료 등이 필요할 수 있으니 사전에 준비하세요!
기타 관련 제도도 함께 알아보세요
- 📌 경증장애인: 월 6만 원 장애수당 지급
- 📌 장애아동: 중증·경증 구분 없이 월 최대 22만 원 지급
장애 등급, 소득 수준, 연령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이 다양하므로, 정확한 상담과 확인이 필요합니다.
Q&A
Q1. 부가급여는 모두 9만 원인가요?
A. 아닙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3만~9만 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Q2. 기초급여만 받고 부가급여는 못 받을 수 있나요?
A. 소득기준 초과 시 부가급여는 일부 또는 전액 미지급될 수 있습니다.
Q3. 장애등급이 변경되면 어떻게 되나요?
A. 재판정을 통해 수급 자격 및 금액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관련 서류를 갖추어 재신청해야 합니다.
Q4.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면?
A.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셔도 신청 가능합니다.
마무리
물가가 오르는 만큼 복지 혜택도 함께 늘어야겠죠? 2025년부터 인상된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의 실질적인 생활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건이 충족된다면 지금 바로 신청하시고, 더 많은 분들이 지원받을 수 있도록 널리 알려주세요!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