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장마 홍수위험지역 확인하기

by 나의 동반자 2025. 4. 10.

장마철이 다가오면 가장 걱정되는 건 단연 ‘침수 피해’죠. 갑작스러운 폭우와 하천 범람으로 인한 피해는 매년 반복되는데, 여러분의 지역도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요?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을 통해 내 집 앞 침수 위험부터 하천 범람 가능성까지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세요.

2025년 장마가 시작하기전에 미리 우리 지역의 침수 위험지대를 확인하세요! 여러분 동네, 침수 위험지역일 수도 있습니다 ⛆

 

홍수위험지역 바로 확인하기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이란?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플랫폼으로, 도시 침수 지도하천 범람 지도를 통해 전국의 침수 취약 지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경험이 부족한 이주민, 임차인, 건물주에게 특히 유용한 데이터 기반 안전 정보입니다.

 

2025년 장마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도시 침수 지도 확인 방법

‘도시 침수 지도’는 집중호우, 태풍, 장마 등의 상황에서 빗물펌프장, 저류조 등의 처리시설 용량 초과 시 침수 예상 범위를 제공합니다.

  • 주소 검색 후 해당 지역의 침수심을 색상별로 확인
  • 100년 빈도 폭우까지 가정하여 시뮬레이션 가능
  • 투명도 조절로 배경 지도와 침수 정보 겹쳐 보기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예) 강남역 일대는 5m정도의 침수심이 분포되어 퍼져 있으며, 그외 역삼 / 삼성동 일대는 대부분 0.5m 이하의 침수지역으로 설정.

 

하천 범람 지도 확인 방법

‘하천 범람 지도’는 국가하천(한강, 낙동강 등)과 지방하천(중랑천, 안양천 등)의 범람 시 물의 흐름과 침수 깊이 예측 정보를 제공합니다.

  •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별도 메뉴 구성
  • 상류에 비가 많이 와도 하류 지역에 피해 발생 가능
  • 한강 하류, 중랑천 등 실제 뉴스 사례 확인 가능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 한강 하류는 밀물과 겹치면 범람 위험이 증가하며, 중랑천은 과거 반복적 침수로 대표적인 사례로 기록됨

 

확인 가능한 주요 기능 요약

기능 설명
주소 검색 시·도, 시·군·구 단위로 입력하여 지역 선택
지도 유형 일반 지도, 위성 지도, 하이브리드 선택 가능
침수심 색상표시 0.5m, 1m, 2m 등 단계별 수심 정보 시각화
빈도별 시나리오 10년, 50년, 100년 강우 시 침수 예측

 

Q&A

Q1. 전국 모든 지역이 지도에 표시되나요?
A. 아직 일부 지역(특히 수도권 외)은 데이터가 미반영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추후 지속 확대 예정입니다.

 

Q2. 내가 사는 지역이 침수 위험구역이면 어떻게 하나요?
A. 사전 대비가 중요합니다. 배수로 점검, 물막이판 설치, 지하 주차장 주의 등 대응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Q3. 집값에 영향이 있나요?
A. 공식적으로 고지되지는 않지만, 침수위험 지역 정보는 거래 시 협상 또는 계약 조건에서 언급될 수 있습니다.

 

Q4. 정보는 얼마나 자주 업데이트되나요?
A. 기상청 및 국토부, 환경부의 정기조사 및 홍수 경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 보완됩니다.



마무리

장마철, 막연한 불안보다는 정확한 정보가 더 중요합니다.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을 활용하면 내 집 앞 침수 가능성을 미리 확인하고 대비할 수 있습니다. 기후위기 시대, 피해를 줄이는 가장 똑똑한 방법은 바로 데이터 기반의 선제적 대응입니다.

 

👉 지금 확인하세요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바로가기